네카우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카우 2세는 프삼메티크 1세의 아들로, 기원전 610년부터 59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이다. 그는 아시리아를 지원하기 위한 원정을 시작하여 유다 왕국을 속국으로 만들었으나,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신바빌로니아에게 패배하며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잃었다. 군사적 실패 이후, 네카우 2세는 나일 강에서 홍해까지 운하를 건설하고 이오니아 그리스인을 고용하여 해군을 창설하는 등 내정에 힘썼으며, 페니키아인에게 아프리카 일주를 의뢰하기도 했다. 그는 기원전 595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프삼티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 - 프삼티크 1세
프삼티크 1세는 아시리아의 지원으로 이집트 제26왕조를 창건한 파라오로, 이집트 통일, 경제 재건, 군사력 강화, 활발한 군사 활동을 펼쳤다. - 기원전 7세기 파라오 - 프삼티크 1세
프삼티크 1세는 아시리아의 지원으로 이집트 제26왕조를 창건한 파라오로, 이집트 통일, 경제 재건, 군사력 강화, 활발한 군사 활동을 펼쳤다. - 기원전 6세기 파라오 - 캄비세스 2세
캄비세스 2세는 키루스 2세의 뒤를 이어 아케메네스 제국의 두 번째 왕으로 즉위하여 이집트를 정복했지만,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 원정과 종교 정책에 대한 논란, 그리고 사망 원인에 대한 여러 학설이 있다. - 기원전 6세기 파라오 - 다리우스 1세
다리우스 1세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왕으로서 반란을 진압하고 영토 확장, 중앙집권 체제 구축, 도로망 정비 등 제국 내정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그리스 원정을 통해 페르시아 제국의 위상을 높였다.
네카우 2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네코 2세 |
다른 이름 | 네카우 |
왕조 | 제26왕조 |
배우자 | 케데브네이트히르비네트 1세 |
왕위 | |
즉위 전임자 | 프삼티크 1세 |
계승자 | 프삼티크 2세 |
통치 기간 | 기원전 610년–595년 |
사망 | 기원전 595년 |
호칭 | |
호루스 이름 | 마아이브 (Maaib) |
네브티 이름 | 마아케루 (Maakheru) |
황금 호루스 이름 | 메리네체루 (Merynetjeru) |
즉위명 | 와헴이브레 (Wahemibre) |
탄생명 | 네코 (Necho) |
2. 생애
네카우 2세는 프삼메티크 1세의 아들로, 기원전 610년부터 기원전 59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기원전 609년, 멸망 직전의 아시리아를 지원하기 위해 므깃도 전투에서 유다 왕국의 요시야 왕을 패사시키고 유다를 이집트의 조공국으로 만들어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패권을 회복하는 듯했다.
그러나 기원전 605년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신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패배하면서 시리아·팔레스타인 지방의 패권을 빼앗겼다. 나보폴라사르의 사망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귀국하면서 이집트 본토는 무사할 수 있었다. 이후 아시아 지역으로의 군사적 패권 확장 정책은 한계에 부딪혔다. 기원전 601년 아스글론에서 일어난 반란에 지원 요청을 받았지만, 이집트는 원군을 보내지 않고 동쪽 국경 방어에 집중했다.
패전 후 네카우 2세는 무역에 힘썼고, 그리스인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나일강에서 홍해까지 운하를 건설하려 했지만, 완성하지는 못했다. 또한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페니키아인에게 명하여 아프리카 일주를 시켰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2. 1. 혈통과 초기 생애
네코 2세는 프삼메티크 1세와 그의 대왕비 메텐웨스케트의 아들이었다. 그의 왕명인 와헴-이브-레는 "레의 마음(즉, 소원)을 수행한다"는 뜻이다.[19] 그가 즉위했을 때, 이집트는 키메르인과 스키타이인의 침략으로 발생한 혼란에 직면했다. 이들은 유프라테스강 서쪽의 아시아를 약탈했을 뿐만 아니라, 바빌로니아인들이 아시리아 제국을 붕괴시키는 데에도 일조했다.2. 2. 군사 원정
네카우 2세는 군사 원정을 통해 이집트의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 기원전 609년, 멸망 직전의 아시리아를 돕기 위해 원정을 떠나 므깃도 전투에서 유다 왕국의 요시야 왕을 전사시키고 유다를 조공국으로 만들었다. 이를 통해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패권을 회복하는 듯 했다.그러나 기원전 605년, 신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지역의 패권을 상실했다. 나보폴라사르의 사망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귀국하면서 이집트 본토는 무사할 수 있었다.
이후 아시아 지역으로의 군사적 패권 확장 정책은 한계에 부딪혔다. 기원전 601년, 아스글론에서 일어난 반란에 지원 요청을 받았지만, 이집트는 원군을 보내지 않고 동쪽 국경 방어에 집중했다.
2. 2. 1. 제1차 원정 (기원전 609년)
Nekau|네카우 2세egy는 기원전 609년 봄, 아시리아를 돕기 위해 상당한 병력을 이끌고 시리아로 진격했다. 네카우 2세는 주로 용병으로 구성된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해안 길인 비아 마리스를 따라 이동했으며, 해안을 따라 지중해 함대의 지원을 받았다. 메기도에서 유다 왕국의 왕 요시야와 교전하여 그를 전사시켰다.[20]헤로도토스는 그의 저서 ''역사 2권 159절''에서 이 원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네코스는 운하 공사를 중단하고 전쟁으로 돌았다. 그의 삼단 노선 중 일부는 북쪽 바다에서, 일부는 에리트리아 해 연안에 있는 아라비아 만(홍해)에서 건설되었다. 배를 해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윈드래스는 여전히 볼 수 있다. 그는 필요에 따라 이 배들을 배치했으며, 시리아인들과 마그돌로스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여 그들을 정복했다. 그리고 이 후에 그는 시리아의 큰 도시인 카디티스(카데시)를 점령했다. 그는 이 전투에서 입었던 옷을 밀레투스의 브란키다에로 보내 아폴론에게 헌납했다.
네카우 2세는 곧 오론테스 강가의 카데시를 점령하고 진격하여 아슈르-우발리트와 합류했으며, 함께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하란을 포위했다. 네카우 2세는 투트모세 3세 이후 유프라테스 강을 건넌 최초의 파라오가 되었지만, 하란을 점령하는 데는 실패하고 북부 시리아로 후퇴했다.
2. 2. 2. 제2차 원정 (기원전 609-605년)

바빌론의 왕은 시리아에서 그의 권력을 재확립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기원전 609년, 나보폴라사르 왕은 쿠무크를 점령했는데, 이는 카르케미시에 주둔하고 있던 이집트 군대를 고립시켰다. 네코 2세는 이듬해 4개월 간의 포위 공격 끝에 쿠무크를 탈환하고 바빌론 수비대를 처형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나보폴라사르는 또 다른 군대를 소집하여 유프라테스 강변의 쿠라무티에 주둔시켰다. 그러나 나보폴라사르의 건강 악화로 인해 그는 기원전 605년에 바빌론으로 돌아가야 했다.[2] 이에 대응하여, 기원전 606년 이집트군은 지도자가 없는 바빌로니아군(아마도 당시 왕세자 네부카드네자르가 이끌었을 것임)을 공격했고, 바빌로니아군은 그들의 진지에서 도망쳤다.[2]
이 시점에서 노령의 나보폴라사르는 군대의 지휘권을 그의 아들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게 넘겼고, 그는 기원전 605년 카르케미시에서 이집트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고, 도망치는 생존자들을 하마스까지 추격했다.[2] 네코 2세가 이집트 신왕국 시대와 같이 중동에서 이집트 제국을 재건하려는 꿈은 네부카드네자르가 유프라테스 강에서 이집트 시내(예레미야서 46:2; 열왕기하 23:29)를 거쳐 유대까지 이집트 영토를 정복함으로써 무너졌다.[2] 네부카드네자르는 새로운 정복지에서 여러 해 동안 지속적인 평정 작전을 수행했지만, 네코 2세는 빼앗긴 영토의 어떠한 중요한 부분도 회복할 수 없었다.[2] 예를 들어, 아스칼론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반복된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집트군은 지원을 보내지 못했고,[2] 기원전 601년에는 동부 국경에서 바빌론의 공격을 간신히 격퇴할 수 있었다.[2] 바빌론의 공격을 격퇴했을 때, 네코 2세는 적을 추격하면서 가자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2]
2. 2. 3. 바빌로니아와의 충돌 (기원전 601년)
기원전 601년, 아스글론에서 바빌로니아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을 때, 이집트는 지원 요청을 받았지만 원군을 보내지 않고 바빌로니아에 대해 동쪽 국경을 방어하는 데 그쳤다.2. 3. 내정과 프로젝트
기원전 605년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신바빌로니아에 패배한 후, 네카우 2세는 군사적 활동보다 내정에 집중했다. 그는 무역을 장려하고 그리스인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네카우 2세는 페니키아인에게 아프리카 일주를 명하기도 했다.[22]2. 3. 1. 운하 건설
네카우 2세는 시리아 원정 때 나일강 지류인 펠루시움에서 홍해까지 배가 다닐 수 있는 운하 건설을 시도했지만, 완공하지는 못했다.[22] 네카우의 운하는 수에즈 운하의 전신으로 평가받는다.[22] 이 운하는 지중해와 인도양 사이의 무역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었다.2. 3. 2. 해군 육성
네카우 2세는 이집트 해군 창설을 위해 이오니아 그리스인들을 징집했다.[24] 이는 대부분의 이집트인들이 전통적으로 바다에 대한 혐오감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파라오가 한 전례 없는 행동이었다.[24] 네카우 2세가 창설한 해군은 지중해와 홍해 해안에서 모두 활동했다.[25] 네카우 2세는 삼단노선을 포함하여 군함을 건조했다.[26][27]2. 3. 3. 페니키아인의 아프리카 일주
네카우 2세는 기원전 610년부터 594년 사이에 페니키아인들에게 원정을 의뢰했다.[28] 페니키아인들은 3년 만에 홍해에서 출발하여 아프리카를 돌아 나일강 어귀로 돌아왔다고 전해진다. 이는 희망봉 항로를 최초로 완주한 사건으로 여겨진다.[29][30] 헤로도토스는 페니키아인들이 "리비아(아프리카) 남단을 서쪽으로 항해할 때 태양이 그들의 오른쪽에 있었다"고 언급했는데, 당시에는 아프리카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기록은 믿기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로도토스의 기록은 구전으로 전해졌지만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역사》 4.42).[32]2. 4. 죽음과 계승
네카우 2세는 기원전 595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프삼티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43] 프삼티크 2세는 아버지의 이름을 기념물에서 지웠으나, 그 이유는 불분명하다.[43]3. 평가
네카우 2세는 군사적으로는 므깃도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패배하는 등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1] 그러나 내정 면에서는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 건설을 시도하고, 페니키아인들에게 아프리카 일주를 명하는 등[1] 해상 무역과 지리적 발견에 힘쓴 선구적인 군주로 평가할 수 있다. 비록 운하는 완성되지 못했지만, 그의 노력은 수에즈 운하 건설의 토대가 되었다. 또한, 그리스인들을 고용하여 해군을 창설하고 삼단노선을 도입하는 등 군사 기술 발전에도 기여했다.[24][25][26][27]
3. 1. 군사적 실패
기원전 609년, 멸망 직전의 아시리아 잔존 정권을 지원하는 원정 도중, 므깃도 전투에서 유다 왕국의 요시야 왕을 패사시키고 유다를 이집트의 조공국으로 만들었다.[1] 이를 통해 이집트는 시리아·팔레스타인 지방에 대한 패권을 회복하는 듯 했다.[1]그러나 기원전 605년, 신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이끄는 군대에게 카르케미시 전투에서 패배하여 시리아·팔레스타인 지방의 패권을 빼앗겼다.[1] 나보폴라사르의 사망으로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귀국하여 이집트 본토는 무사할 수 있었다.[1]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유프라테스에서 이집트의 시내까지" 이집트의 옛 영토를 회복했고(「예레미야서」46:2,「Ⅱ열왕기」23:29),[1] 네카우 2세는 아시아 지역으로의 군사적 패권 확장 정책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1] 기원전 601년, 아스글론에서 바빌로니아에 대한 반란이 일어났을 때 이집트는 지원 요청을 받았지만, 원군을 보내지 않고 동쪽 국경을 방어하는 데 그쳤다.[1]
3. 2. 내정 개혁의 의의
네카우 2세는 수에즈 운하의 초기 형태인 네카우의 운하 건설을 통해 지중해와 인도양 사이의 무역을 촉진하려 했다.[22] 비록 이 운하는 완공되지 못했지만, 이집트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텔 엘 마스크타에 'Per-Temu Tjeku'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여 이 지역의 발전을 도모했다.[23]네카우 2세는 이오니아 그리스인들을 징집하여 이집트 해군을 창설했는데, 이는 이집트인들이 전통적으로 바다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전례 없는 행동이었다.[24] 네카우 2세가 창설한 해군은 지중해와 홍해 해안에서 모두 활동했으며, 삼단노선을 포함한 군함을 건조했다.[25][26][27]
기원전 610년에서 기원전 594년 사이에는 페니키아인들에게 원정을 의뢰하여 3년 만에 홍해에서 출발하여 아프리카를 돌아 나일강 어귀로 돌아오는 희망봉 항로를 최초로 완주하게 했다.[28][29][30] 이는 헤로도토스의 기록을 통해 알려졌으며, 당시에는 아프리카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지리적 발견으로 평가받는다.[32][34]
참조
[1]
서적
Encyclopædia: Or,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Miscellaneous Literature
https://books.google[...]
Stone house, no. 41, South Second street
1798
[2]
서적
A History of Egypt, from the XIXth to the XXXth Dynasties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Historians' History of the World: Prolegomena; Egypt, Mesopotamia
[4]
서적
United States Exploring Expedition: Volume 15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Congress
[5]
간행물
The Bibliotheca Sacra, Volume 45
Dallas Theological Seminary
1888
[6]
서적
Essay on the Hieroglyphic System of M. Champollion, Jun., and on the Advantages which it Offers to Sacred Criticism
https://books.google[...]
[7]
문서
Herodotus 2,152. 2
[8]
문서
Wörterbuch der griechischen Eigennamen
1911
[9]
Citation
The Ancient Fragments
William Pickering
[10]
서적
The history of Egypt
https://books.google[...]
E. Moxon
1852
[11]
웹사이트
Herodotus (4.42)
https://penelope.uch[...]
[12]
서적
The Popular Handbook of Archaeology and the Bible
[13]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books.google[...]
[14]
서적
The Holy Bible, According to the Authorized Version (A.D. 1611)
https://books.google[...]
[15]
문서
see Hebrew Bible / Old Testament
[16]
서적
The temple of Mut in Asher
https://books.google[...]
[17]
서적
Egypt Under the Pharaohs: A History Derived Entireley from the Monuments
https://books.google[...]
[18]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9]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and Hudson
1994
[20]
문서
Egypt and the Kingdom of Judah under Josiah and Jehoiakim
2010
[21]
서적
II. Chronicles
https://books.google[...]
[22]
간행물
The Wadi Tumilat and the "Canal of the Pharaohs"
1995-04
[23]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The British Museum Press
1995
[24]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and Hudson
1994
[25]
문서
Herodotus 2.158; Pliny N.H. 6.165ff; Diodorus Siculus 3.43
[2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27]
서적
Carthage Must Be Destroyed: The Rise and Fall of an Ancient Civilization
Penguin
2011-07-21
[28]
문서
Unlikely with the intent of circumnavigating Africa, but for finding an alternative route to Asia than through the area near the Levant. Also, such voyages were undertaken for trading with more southern African cities; thereafter being blown off-course, if not tasked to sail around the lands.
[29]
서적
Israel, India, Persia, Phoenicia, Minor Nations of Western Asia
https://books.google[...]
[30]
서적
Nile valley contributions to civilization,Volume 1
1992
[31]
서적
The Ancient Explorers
Penguin Books
1963
[32]
Wikisource
History of Herodotus
[33]
서적
The Geographical system of Herodotus
https://books.google[...]
[34]
서적
Die umsegelung Asiens und Europas auf der Vega
https://books.google[...]
[35]
서적
History of Egypt
https://books.google[...]
American Book Co.
1890
[36]
서적
The Story of the Pharaohs
https://books.google[...]
A. and C. Black
1908
[37]
논문
Necho and the Red Sea: Some Considerations
https://www.jstor.or[...]
1977
[38]
문서
[39]
간행물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Twentieth century
1908
[40]
간행물
'The Historians'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41]
간행물
Cosmos: A Sketch of a Physical Description of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42]
간행물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63
[43]
논문
The Statue BM EA 37891 and the Erasure of Necho II's Names
https://www.academia[...]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